프로그래머스/연습문제 Level2

프로그래머스 Summer/Winter Coding(~2018) LV2 - 배달

맴썰 2021. 11. 1. 16:42

문제 설명

N개의 마을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습니다. 이 나라의 각 마을에는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각각 하나씩 부여되어 있습니다. 각 마을은 양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는 도로로 연결되어 있는데, 서로 다른 마을 간에 이동할 때는 이 도로를 지나야 합니다. 도로를 지날 때 걸리는 시간은 도로별로 다릅니다. 현재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에서 각 마을로 음식 배달을 하려고 합니다. 각 마을로부터 음식 주문을 받으려고 하는데, N개의 마을 중에서 K 시간 이하로 배달이 가능한 마을에서만 주문을 받으려고 합니다. 다음은 N = 5, K = 3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위 그림에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은 [1, 2, 4, 5] 번 마을까지는 3 이하의 시간에 배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3번 마을까지는 3시간 이내로 배달할 수 있는 경로가 없으므로 3번 마을에서는 주문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배달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은 4개가 됩니다.
마을의 개수 N, 각 마을을 연결하는 도로의 정보 road,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음식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마을의 개수 N은 1 이상 5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road의 길이(도로 정보의 개수)는 1 이상 2,000 이하입니다.
  • road의 각 원소는 마을을 연결하고 있는 각 도로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 road는 길이가 3인 배열이며, 순서대로 (a, b, c)를 나타냅니다.
    • a, b(1 ≤ a, b ≤ N, a != b)는 도로가 연결하는 두 마을의 번호이며, c(1 ≤ c ≤ 10,000, c는 자연수)는 도로를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 두 마을 a, b를 연결하는 도로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한 도로의 정보가 여러 번 중복해서 주어지지 않습니다.
  • K는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며, 1 이상 500,000 이하입니다.
  • 임의의 두 마을간에 항상 이동 가능한 경로가 존재합니다.
  •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K 이하의 시간에 배달이 가능한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면 됩니다.

입출력 예

N        road                                                                                                                       K      result

5 [[1,2,1],[2,3,3],[5,2,2],[1,4,2],[5,3,1],[5,4,2]] 3 4
6 [[1,2,1],[1,3,2],[2,3,2],[3,4,3],[3,5,2],[3,5,3],[5,6,1]] 4 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주어진 마을과 도로의 모양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1번 마을에서 배달에 4시간 이하가 걸리는 마을은 [1, 2, 3, 5] 4개이므로 4를 return 합니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road, int K) {
        int answer = 0;
        int tmax = 1000001;
        int[] distance = new int[N+1];
        boolean[] visited = new boolean[N+1];
        for(int i=2; i<=N; i++){
            distance[i] = tmax;            
            visited[i] = false;
        }
        visited[0] = true;
        visited[1] = true;
        int target = 1;
        int cnt = 0;
        while(cnt<N-1){
            for(int i=0; i<road.length; i++){
                if(road[i][0]==target){
                    distance[road[i][1]] = Math.min(distance[road[i][1]],distance[target]+road[i][2]);
                }
                else if(road[i][1]==target){
                    distance[road[i][0]] = Math.min(distance[road[i][0]],distance[target]+road[i][2]);
                }
            }
            int min = 9999999;
            for(int i=1; i<distance.length; i++){
                if(visited[i]) continue;
                if(distance[i]<min){
                    min = distance[i];
                    target = i;
                }
            }
            visited[target] = true;
            cnt++;
        }
        for(int i=1; i<distance.length;i++){
            if(distance[i]<=K)answer++;
        }
        return answer;
    }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