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을 공부하다보니 메소드 뒤에 throws가 붙는 생소한 구문이 보여서 공부를 해봤다.
찾아보니 기본형은 "throws 예외클래스이름"이고 예외처리를 호출한 쪽에 맡기는 구문이라고 한다.
호출하는 부분에서 try, catch 구문으로 예외처리를 해주면 된다.
Exception 클래스 중 예외처리가 필요한 부분을 작성하면 된다.
그러나 RuntimeException클래스의 하위 클래스는 자바에서 자동으로 예외처리를 해주니 별도로 예외처리를 해주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공부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Final Keyword (0) | 2022.02.22 |
---|---|
[JAVA] Java의 컴파일 과정 및 메모리 구조 (0) | 2022.02.19 |
[Eclipse] JDK 버전 변경 후 기존 프로젝트 오류 발생 시 해결 방법 (1) | 2021.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