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Final Keyword Spring을 공부하며 정리했던 https://ghcode.tistory.com/168 [Spring] DI(의존성 주입) 3가지 방법 DI(의존성 주입, 종속객체 주입)은 IoC(제어의 역행)의 테크닉 중 하나로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한테 의존성을 주입하는 테크닉으로, 의존성이란 곧 서비스로 사용가능한 객체를 뜻한다. 테스트 ghcode.tistory.com 이 글에서 의존성 주입방식 중 생성자 주입을 권장하는 이유 중 하나가 final keyword를 사용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이다. 이 이점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해서 Final Keyword에 대해서 더 알아보며 의존성 주입의 다른 방법(필드 주입, 수정자 주입에서는 왜 객체에 Final Keyword를 붙일 수 없는지 알아볼 것이다. .. 2022. 2. 22. [JAVA] Java의 컴파일 과정 및 메모리 구조 우리가 작성한 Java 코드, 즉 .java file은 java 컴파일러인 javac에 의해서 확장자가 .class인 바이트 코드로 변환된다. 이 바이트코드를 JVM 내의 Class Loader가 읽어들이고 메모리에 배치하는데, 클래스를 읽어와(Loading) 레퍼런스에 연결(Linking)하고, Static 변수 초기화 및 변수 할당(Initialization)의 과정을 거친다. Class Loader에 의해 배치된 바이트 코드는 Execution Engine에 의해 실행되고, 실행 엔진은 이를 줄 단위로 읽어서 수행한다. Garbage Collecter는 객체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고 사용되지 않는 객체를 자동적으로 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Runtime Data Areas는 총 6개의 영역으로 구분.. 2022. 2. 19. [Eclipse] JDK 버전 변경 후 기존 프로젝트 오류 발생 시 해결 방법 JDK 버전을 변경 후 위와 같이 빨간 느낌표 모양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프로젝트 > Properties > java build path > JRE System Library 클릭 후 edit 버튼을 누르고 Alternate JRE를 선택한 후 설치한 JDK 버전을 선택하면 된다. 상기한 단계까지 완료하면 프로젝트에 있던 빨간 느낌표가 빨간 엑스박스로 바뀔 것이다. 그 후 다시 properties에서 java compiler에 들어간 후 Compiler Compliance level의 값을 설정한 JDK 버전으로 변경해주고 Apply하면 엑스박스도 사라진다. 2021. 12. 7. [Java] Throws 구문 웹을 공부하다보니 메소드 뒤에 throws가 붙는 생소한 구문이 보여서 공부를 해봤다. 찾아보니 기본형은 "throws 예외클래스이름"이고 예외처리를 호출한 쪽에 맡기는 구문이라고 한다. 호출하는 부분에서 try, catch 구문으로 예외처리를 해주면 된다. Exception 클래스 중 예외처리가 필요한 부분을 작성하면 된다. 그러나 RuntimeException클래스의 하위 클래스는 자바에서 자동으로 예외처리를 해주니 별도로 예외처리를 해주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2021. 12.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