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Spring

[Spring] @Configuration과 @Bean Annotation을 이용한 Bean 등록

by 맴썰 2022. 2. 21.

지난 글에서는 @Component와 그 하위 Annotation(Service/Controller/Repository)를 이용한 Bean 등록에 관한 내용을 다뤘는데 이번 글에서는 Bean을 등록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package com.test.service;

public class ReturnByeService {
	
	public String ReturnBye() {
		return "Bye Bye!";
	}
	
}
package com.test.service;

public class ReturnGoodService {
	
	public String ReturnGood() {
		return "Good Job!";
	}
	
}

위와 같이 해당 클래스에는 @Service Annotation을 붙이지 않고 생성한 평범한 Java Class이다.

package com.test.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com.test.service.*;
@Configuration
public class TestConfig {
	@Bean
	public ReturnByeService ReturnByeService() {
		return new ReturnByeService();
	}
	@Bean
	public ReturnGoodService ReturnGoodService() {
		return new ReturnGoodService();
	}
}

별도의 클래스 파일에 @Configuration Annotation을 붙이고, 해당 클래스 내에 특정 객체를 반환하는 함수를 정의하고, @Bean Annotation을 붙여 빈으로 등록할 수 있다.

@Autowired를 이용해 필드주입하도록 작성하고 각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하는 코드
정상적으로 DI가 된 것을 결과로 확인할 수 있다.

 

'공부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Maven? Gradle?  (0) 2022.02.23
[Spring] Spring vs SpringBoot  (0) 2022.02.22
[Spring] DI(의존성 주입) 3가지 방법  (0) 2022.02.21
[Spring] 기본적인 @AutoWired Annotation 사용법  (0) 2022.02.21
[Spring] Spring Framework 정리  (0) 20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