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UIJj0DzEVDQ
상기한 영상을 보고 공부 목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증권이란? 어떤 증거가 되는 문서나 서류
보통 유가 증권을 의미하는데, 이는 가치가 있는 무언가를 증명하는 증권
1. 화폐 증권 : 대표적으로 지폐, 상품권, 쿠폰, 수표
2. 상품 증권 : 화물 등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하는 증권
3. 자본 증권 : 채권과 주식
과거에는 종이, 최근에는 전자증권의 형태로 거래된다.
자본증권
채권, 주식, 수익증권, 선물옵션
이러한 자본 증권을 거래하는 시장을 증권 시장으로 한다.
채권 : 빛 문서 (본드)
정부, 지방정부, 은행, 회사 등에서 발행
[ 국채 ] [은행채] [회사채]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 : 특정한 목적을 위한 자금 조달을 위함
채권을 발행하며 일반, 기업투자자에게 돈을 빌릴 때 채권에 대한 이자가 발생하는데, 이는 국가, 은행, 회사 등의 신용등급에 따라 달라진다. 신용도가 높으면 금리가 적고, 낮으면 높다. (개도국의 금리가 높은 이유)
자본금 : 개인사업자 회사의 경우는 회사의 주인을 특정할 수 있지만 주식회사의 경우는 주식 자체가 회사의 근간을 이루기 때문에 회사의 주인을 특정할 수 없다.
따라서 자본금을 주식이라는 단위로 쪼개서 자본금을 출자한 만큼 주식이라는 증권을 준다.
주식 : 회사의 자본금을 구성하는 단위
주식과 채권의 차이점 : 채권은 사업이 있을 때 필요하면 발행, 주식은 회사가 설립할 때 처음 발행한 주식(구주) + 상장 후 새로 발생한 주식 (공모주, 신주) + 증자(자본금을 늘릴 때 발행)
주식 : 시세 차익 + 배당금
채권 : 만기 이자 + 시세차익(채권 자체를 팔 수 있다) + 할인채(할인 가격에 구매 후 본래 가격에 판매)
국내 주식 시장 & 주식지수
주식 시장 : 주식을 사고 파는 시장
국내 주식 시장의 종류
- 유가 증권 시장 : 1956년 최초의 시장
- KOSDAQ 시장 : 1996년 개장한 시장 (유가 증권 시장만 있었을 때에는 대기업 위주의 상장만 이루어졌는데,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벤쳐기업 등을 위한 시장)
지수 : 어떠한 기준점을 가지고 특정 수치를 판단하는 것
유가 증권 시장의 경우 상장된 기업의 수는 KOSDAQ 시장에 비해 많지 않지만 규모가 굉장히 큰 기업들이 많다.
KOSDAQ 시장의 경우 상장된 기업의 수가 많지만 각 기업의 규모가 비교적 작다.
유가 증권 시장에서 한 기업의 시가총액 : 주식 수 * 주가 -> 기업가치
KOSPI 지수 (한국 종합 주가 지수) : 현재 유가 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시가총액을 모두 더한 값을 기준 시점의 시가총액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다.
해당 기준점 : 1980년 1월 4일
KOSDAQ 지수 : 현재 시가총액 / 기준시점 시가총액 * 1000(대부분 중소, 벤처기업)
KOSDAQ 지수도 원래 KOSPI 지수와 같이 100을 곱하는 식으로 구했지만 1990년 ~ 2000년 사이에 .COM bubble로 인해서 벤쳐기업에 자금이 많이 들어가 주가가 크게 상승하였다가, 2003년 주가가 폭락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KOSDAQ 지수가 급격히 하락했던 경우가 있어 2004년 1000을 곱하는 것으로 바꾸었다.
해당 기준점 : 1996년 7월
KOSPI 200 : 유가 증권 시장에 상장된 상위 200 종목의 지수
미국의 주식시장과 주가지수
미국의 주식 시장은 전세계 44% 수준 (한국은 2%)
1. 뉴욕증권거래소
2. NASDAQ
3. 미국증권거래소(AMEX)
미국의 경우는 주식 지수를 산출하는 공식을 사기업에서 만듦.
1. 다우산업 : 다우존스사에서 뉴욕승권거래소와 NASDAQ에 상장된 기업 중 우량하고 안정적이고 신용도 있는 30개 기업의 주식 가치에 따라서 지수로 만듦
2. NASDAQ
3. S&P 500 : 뉴욕승권거래소와 NASDAQ에 상장된 기업 중 500개 기업 중 업종별로 기업을 나눠 우량한 기업을 뽑아 그 기업들의 시가총액이나 주식을 각자의 산출 공식에 따라 지수로 만든 것
상장의 개념과 절차
신규 상장주 : 새롭게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기업
1. 주관회사를 선정 (상장을 도와줄만한 증권사를 찾는 것)
2. 실사, 내부정비 (IPO, 즉 기업공개를 위해 내부정비 )
3. 예비심사 청구
4. 증권신고서 제출
5. 청약 및 납입 과정( 기업 및 개인이 공모주 청약 가능)
공모주 가격 선정 과정
희망밴드(회사가 희망하는 가격 범위)를 회사측에서 정하고, 기관 투자자들의 수요 예측을 통해 공모주의 가격이 결정되고,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물량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개인투자자에게 넘어가는데, 경쟁률이 쎌 경우 청약을 한다( 계약을 해달라고 요청)
청약의 과정
배정된 주식 물량에 대해 개인투자자가 신청, 증거금으로 (공모주 가격 * 수량) / 2를 증권사 계좌에 입금하고 신청하는데, 경쟁에서 이겨야 청약 가능 ( 증거금을 많이 넣어야 주식을 받을 확률이 높다)
IPO(Initial Public Offering)
최초로 외부투자자에게 주식을 파는 것
'공부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재무 상태표와 손익계산서 연결 (0) | 2022.04.10 |
---|---|
[금융]재무제표의 요소 - 자산/부채/자본, 수익/비용의 이해 (0) | 2022.04.10 |
[금융] Stock(저량)과 Flow(유량) (0) | 2022.04.10 |
[금융] 회계 정보란? (0) | 2022.04.10 |
[금융] 복식부기와 차변, 대변의 이해 (0) | 2022.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