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입출력 예
progresses speeds return
[93, 30, 55] | [1, 30, 5] | [2, 1] |
[95, 90, 99, 99, 80, 99] | [1, 1, 1, 1, 1, 1] | [1, 3, 2]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
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기능이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끝나기까지 남은 일수는 각각 5일, 10일, 1일, 1일, 20일, 1일입니다. 어떤 기능이 먼저 완성되었더라도 앞에 있는 모든 기능이 완성되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5일째에 1개의 기능, 10일째에 3개의 기능, 20일째에 2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내 풀이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rogresses, int[] speeds) {
int[] answer = new int[progresses.length];
int[] days = new int[progresses.length];
int asi = 0;
int cnt = 1;
int last = 999;
int pop1 = 0;
double temp =0.0;
Stack<Integer> a = new Stack<Integer>();
for(int i=0; i<progresses.length;i++){
temp = 100-progresses[i];
temp = Math.ceil(temp/speeds[i]);
days[i] = (int)temp;
}
for(int i = progresses.length-1; i>=0; i--) a.push(days[i]);
pop1 = a.pop(); last = pop1;
for(int i=0; i<progresses.length-1; i++){
pop1 = a.pop();
if(pop1<=last) {cnt++;}
else if(pop1>last) {last = pop1; answer[asi++]=cnt; cnt=1; }
}
answer[asi++]=cnt;
int[] ans = new int[asi];
for(int i=0;i<ans.length;i++){
ans[i] = answer[i];
}
return ans;
}
}
맨 처음 문제를 보고 생각한 내용은 각 기능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배열로 나타내면 편할 것 같다고 생각하였다. Progresses와 speeds 배열을 1개의 배열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100 - 진도율)의 값을 개발 속도로 나눈 값을 올림하여 배열에 저장하였다.
그리고 소요되는 시간을 가진 배열을 역순으로 스택에 집어넣고, 하나씩 POP 하며 하루에 배포할 수 있는 최대값을 구하려고 했다.
[15, 90, 9, 99, 70, 99]의 진도율이 있을 때, 각 소요되는 시간은 [85, 1, 91, 1, 30, 1] 이다
이때 앞에 있는 task의 완료가 우선이기 때문에 처음 85일의 시간이 걸리고 그 다음 task는 1일이면 완료되지만, 이는 85일 뒤에 1번째 task와 함께 배포된다. 그 다음 task는 91일이므로 함께 배포를 할 수 없는데, 이렇게 [85, 1], [91, 1, 30, 1]의 두 블럭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앞 블럭의 최댓값보다 높은 값이 나올 경우 다음 블럭이 생성될 수 있다.
그래서 먼저 스택의 맨 처음 값을 pop하여 별도의 변수에 저장하고, 이 값을 가지고 같은 블럭에 속할 수 있는지 비교하다가, 더 높은 값이 나오면 앞 블럭의 개수를 정답 배열에 저장하고, 더 높은 값을 새로 별도의 변수에 저장하여 다음부터의 비교에 사용한다.
프로그래머스 상에서 제공해준 answer 배열이 초기화가 안되어 있어서 일단 progresses 배열의 길이로 초기화 시켜주고
마지막에 블럭의 개수를 길이로 가진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여 옮겨서 return하여 제출하였다.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고득점 k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힙 LV3 - 디스크 컨트롤러 (0) | 2021.08.24 |
---|---|
프로그래머스 힙 LV2 - 더 맵게 (1) | 2021.08.24 |
프로그래머스 스택/큐 LV2 프린터 (0) | 2021.08.23 |
프로그래머스 해시 LV2 - 전화번호 목록 (0) | 2021.08.20 |
프로그래머스 해시 Lv1 - 완주하지 못한 선수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