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금융

[금융] 재무제표의 구성과 회계계정

by 맴썰 2022. 4. 10.

재무제표의 구성 - 1년마다 1기로 표현하며, 당기와 전기를 함께 작성하여 비교한다.

  • 재무상태표 
  • 손익계산서
  • 자본변동표
  • 현금흐름표

회계계정 : 자산/부채/자본, 수익/비용의 변화를 기록하고 분류하는 단위로, 계정과목이라고도 함.

 

재무 상태표를 작성할 때에는 유동, 비유동의 구분이 반드시 필요하다.

 

자산의 대분류 

  • 유동자산 : 1년을 기준으로(1기 기준으로) 변동이 예상되는 자산 
  • 비유동자산 : 1기 기준 변동이 예상되지 않는 자산

부채의 대분류

  • 유동부채
    • 매입채무 : 상품의 원재료 등을 사오고 미지급한 채무
    • 미지급금 : 책상 등 비품을 구매하고 미지급한 채무
  • 비유동부채

자본은 회사가 지속되는 한 나와 게속 함께하므로 그 자체로 비유동이다.

 

자산 = 부채 + 자본 -> 반드시 일치해야한다.

 

 

손익 계산서는 매출액부터 당기 순이익까지 순서대로 내려가며 작성한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하여 ->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에서 판매관리비를 제외하여 -> 영업이익

 

판매관리비는 어느 상품을 만드는데 어느 정도로 기여하는지 추적하기 어렵기 때문에 간접비로 생각되지만, 영업활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영업 이익 밑에 영업 외 이익(이자 수익, 외환 차익, 유형 자산 처분 등), 영업 외 비용(외환 차손, 기부금 등) 표시

 

상기한 내용을 제외하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이 나오고, 여기서 법인세를 제외하면 당기 순이익이 나온다.

 

기업 평가는 영업이익으로 하는 것이 좋은데, 그 하단의 경우는 주 영업 비용이 아니므로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