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의 구성 - 1년마다 1기로 표현하며, 당기와 전기를 함께 작성하여 비교한다.
- 재무상태표
- 손익계산서
- 자본변동표
- 현금흐름표
회계계정 : 자산/부채/자본, 수익/비용의 변화를 기록하고 분류하는 단위로, 계정과목이라고도 함.
재무 상태표를 작성할 때에는 유동, 비유동의 구분이 반드시 필요하다.
자산의 대분류
- 유동자산 : 1년을 기준으로(1기 기준으로) 변동이 예상되는 자산
- 비유동자산 : 1기 기준 변동이 예상되지 않는 자산
부채의 대분류
- 유동부채
- 매입채무 : 상품의 원재료 등을 사오고 미지급한 채무
- 미지급금 : 책상 등 비품을 구매하고 미지급한 채무
- 비유동부채
자본은 회사가 지속되는 한 나와 게속 함께하므로 그 자체로 비유동이다.
자산 = 부채 + 자본 -> 반드시 일치해야한다.
손익 계산서는 매출액부터 당기 순이익까지 순서대로 내려가며 작성한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하여 ->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에서 판매관리비를 제외하여 -> 영업이익
※ 판매관리비는 어느 상품을 만드는데 어느 정도로 기여하는지 추적하기 어렵기 때문에 간접비로 생각되지만, 영업활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영업 이익 밑에 영업 외 이익(이자 수익, 외환 차익, 유형 자산 처분 등), 영업 외 비용(외환 차손, 기부금 등) 표시
상기한 내용을 제외하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이 나오고, 여기서 법인세를 제외하면 당기 순이익이 나온다.
기업 평가는 영업이익으로 하는 것이 좋은데, 그 하단의 경우는 주 영업 비용이 아니므로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
'공부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FX 거래란? (0) | 2022.05.22 |
---|---|
[금융] 헤지(Hedge)란? (0) | 2022.05.22 |
[금융] 재무 상태표와 손익계산서 연결 (0) | 2022.04.10 |
[금융]재무제표의 요소 - 자산/부채/자본, 수익/비용의 이해 (0) | 2022.04.10 |
[금융] Stock(저량)과 Flow(유량) (0) | 2022.04.10 |